Love and Hate
2020-ongoing







I am the daughter of a signmaker. My father has been making signboards since graduating from high school. He moved around the country with his white Hyundai Porter truck, and I often accompanied his journeys as a child. The only scenery from the passenger seat was the father on the ladder measuring with a tapeline. When I grew older, I helped him by peeling off letters along the cut lines of vinyl sheets. Signboards were something familiar to me.

Korean signboards have long been disliked. Reflecting the desire to stand out more than other shops, signs became excessively large and flamboyant. People saw them as an eyesore. In 2012, the Korean government launched a 5-billion-won Signage Improvement Project.¹ They began cutting down illegally installed signs and standardizing the designs and types of signs that had proliferated amid rapid urbanization and weak regulation.

Old signs come down, and new ones go up. Signmaking was nothing more than a means of living, yet in time, my father grew to love it. Since choosing fonts and combining colors was his only pride. Even on the night he argued with a client who refused to pay, he would sit in front of a bright monitor, selecting fonts and arranging them.

I loved my father’s letters. And now, the “ugly and ignorant signboards” he made will be torn down.² The sign man³ will soon be replaced by the sophisticated designer. Love and Hate is an attempt to record the few remaining old signs today and to hold on to my memories with him.

Signs were the only medium that connected us. As I reached adolescence and his drinking worsened, we stopped asking about each other’s days. Only the signboards made us think of each other. I have read the signs alone on the street. The distinct letters etched onto the square Panaplex signage, weathered and worn by the sun, will soon be forgotten.



나는 간판집 딸내미다. 아빠는 고등학교를 졸업하자마자 기술을 익혀 간판을 만들었다. 흰색 포터로 전국을 다녔고, 어린 나는 아빠의 여정에 동참하곤 했다. 트럭 조수석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이라고는 사다리에 오른 아빠가 전부였지만 말이다. 조금 더 자라서는 시트지에 새겨진 칼선을 따라 글자 떼는 일을 도왔다. 나에게 간판이란 익숙한 것이었다.

한국의 간판은 미움받아왔다. 다른 가게보다 눈에 띄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 간판은 어느샌가 지나치게 크고 화려해졌고, 사람들은 우리나라 간판을 골칫거리로 여겼다. 정부는 2012년 50억원 가량을 들여 간판개선사업에 착수했다.¹ 급격한 도시화와 허술한 규제의 영향으로 우후죽순 불어난 불법 간판의 싹을 자르고, 지역 단위로 상점가의 간판 종류와 디자인을 통일하기 시작했다.

헌 간판이 내려가고 새 간판이 올라간다. 간판은 생계를 위한 어쩔 수 없는 수단이었지만, 그럼에도 아빠는 이내 간판을 사랑하게 된 것 같다. 글자를 고르고 색깔을 조합하는 일은 그의 유일한 자부심이었으니까. 돈 떼먹는 의뢰인과 통화로 한바탕 싸운 날에도 아빠는 환한 모니터 앞에 앉아 폰트를 고르고 배열했다.

나는 아빠의 글자들이 좋았다. 그러나 이제 그가 만든 ‘못생기고 무식한’ 간판은 떼어지고 말 것이다.² 간판쟁이³는 세련된 디자이너로 대체될 것이다. 간판수집은 오늘날 남아 있는 낡은 간판을 기록하려는 시도인 한편 아빠와의 기억을 붙잡으려는 미련함이다.

간판은 나와 아빠를 연결하는 유일한 매체였다. 사춘기가 오면서, 아빠의 술주정이 심해지면서 우리는 더이상 안부를 묻지 않았지만, 오직 간판만이 서로를 생각하게 했다. 오늘도 거리에서 혼자 간판을 읽었다. 햇빛에 바래 누래지고 뜯어진 네모난 파나플렉스 간판에 새겨진 개성 있는 글자들도 얼마 뒤면 잊혀지고 말테니까.

1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launched the Signage Improvement Project in 2012 to renovate outdated or illegally installed signs, providing regional funding through public design contests.

행정안전부는 2012년 간판개선사업을 시행하여 노후되거나 불법 설치된 간판을 정비하고 공모전을 통해 지역별로 재정을 지원했다.
2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ferred to the renewed signs as Good Signs and branded the initiative Seoul Good Sign Project, defining good signage by individuality, beauty, and harmony.

서울시는 본 사업으로 정비된 간판을 좋은 간판이라 지칭하며 서울좋은간판을 사업명으로 내걸었다. 그들은 좋은 간판의 기준을 개성, 아름다움, 조화로 꼽았다.

3 Ganpan-janeni (literally sign guys) is a colloquial, somewhat derogatory term for people who paint or make signs. My father and his coworkers often called themselves ganpan-jaengi, using the term self-deprecatingly to describe their trade.

간판쟁이는 간판을 그리거나 만드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 아빠와 그의 동료들은 스스로를 간판쟁이라고 부르며 그들 자신의 직업을 폄하했다.